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유아 교육의 중요성/인지 발달, 결정적 시기

by 북스메리 2022. 4. 24.

호기심 가득한 아이

인지발달

피아제(Piaget)는 아동의 지적인 능력이 유전적으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태어난 후의 환경적 자극에 의해 상당한 영향을 받는다고 보았다. 이때의 환경적 자극은 각 아동의 인지구조에 맞추어 동화와 조절이라는 자발적인 메커니즘에 의하여 아동 스스로의 정신세계를 구성하고 창조해 나간다고 보고 구성주의를 주장하였다.

블룸(Bloom)은 유아기가 인간적 지적 발달의 결정적 시기라는 점을 강조하였다. 그는 인간의 지적 성숙이 최고조에 달하는 17세의 지능을 100으로 보았을 때, 0~4세 사이에 지능의 약 50%가 발달하고, 4~8세에 약 30%가 발달하며, 나머지 20%가 8~17세에 발달한다고 제시한 바 있다. 이 연구에 의하면 0~8세의 유아기는 지능의 약 80%가 이루어지는 중요한 시기이다.

 

 

인지 발달론자들의 주장에서 찾을 수 있는 유아교육의 중요성

  1. 인간의 지적 능력이란 태어날 때부터 고정된 것이 아니다.
  2. 인간의 지적 능력은 환경과 상호작용에 의해 계속적으로 성장하고 변화한다.
  3. 인간의 가장 빠른 지적 성장은 8세 이전에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주변 환경의 영향력은 어릴 때(8세 이전) 더욱 크다.
  4. 환경을 통한 아동의 경험이 발전적으로 작용하기 위해서는 아동의 인지적인 수준과 관심에 부합되는 적절한 자극을 줄 수 있는 교육적 배려가 요구된다.

 

 

언어발달

만 2세를 전후하여 세계의 모든 어린이들은 그 문화가 제공하는 언어를 배운다. 언어는 사고와 개념 발달에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고, 정보를 저장ㆍ활용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데 매우 효율적인 수단이다. 

언어 발달을 위해서도 유아기에는 성인과의 부단한 대화나 체계적이고 풍부한 환경의 자극이 필요하다

 

 

 

결정적 시기

인간의 발달을 설명하는 다양한 이론을 살펴보면, 인간이 발달해 나가는 과정에서 결정적 시기가 있으며, 이 시기를 놓치면 적절한 수준의 발달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주장이 있어 왔다. 결정적 시기란 생후 일정한 시간 내에서만 외부의 자극이 작용하는 시기로서, 결정적 시기에 얻어진 행동은 한평생 지속되지만 이 시기를 놓치면 그 기능이 다시 습득되기 어렵다(조복희, 1999).

결정적 시기를 가장 극적으로 나타내 주는 것은 로렌츠(Lorenz)가 연구한 각인(刻印) 현상이다.

로렌츠는 어미 오리가 낳은 알의 일부를 어미로부터 격리시키고 자신이 부화시켰다. 알에서 깨어난 새끼오리는 어미 오리 대신 로렌츠를 졸졸 따라다녔고, 로렌츠는 이러한 추종 행동을 각인이라 명명했다. 그런데 이 각인 현상은 언제나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부화한 후 13~16시간 사이에 가장 민감하게 일어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로렌츠의 연구에서 드러난 것처럼, 인간의 발달에도 결정적 시기가 있다는 것이 여러 학자들에 의해 개념화되어 왔다.

그러나 이를 실제로 증명해 준 이는 인도에서 발견된 늑대 소녀였다. 1920년 인도의 늑대 굴에서 발견된 한 소녀는 처음 발견되었을 때 약 8세 정도였는데 걸음걸이와 식성 등이 늑대를 그대로 닮았고 늑대 울음과 비슷한 소리를 내었다. 학자들은 이 소녀에게 인간의 말을 가르치려고 노력했으나 8년 동안 50 단어 정도밖에 가르칠 수가 없었다. 언어학자들은 이 소녀가 인간의 언어를 배울 수 있는 기회를 놓쳤기 때문에 아무리 가르쳐도 인간의 언어를 습득할 수 없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코스텔 닉(Kostelnik)과 그의 동료들은 유아기 발달의 최적기인 영역으로 친사회적 태도와 행동, 의사소통능력, 친교적 기술, 자아 존중, 일반적인 문제 해결전략, 논리ㆍ수학적 사고 과정, 문해 출현, 심미감, 권위와 규칙에 대한 태도, 학습자로서의 자신에 대한 태도 등을 제시한 바 있다.(심성경 외, 1999 재인용).

이처럼 유아기가 다양한 영역에 걸쳐 발달의 최적기라면 유아교육을 담당하는 사람들을 이 시기에 해당하는 발달 과업이 제대로 성취될 수 있도록 적절한 교육적 시도를 해야 할 것이다.  

 

댓글